식탁위의인물사 53

고통을 요리한 화가, 프리다 칼로의 식탁

“프리다 칼로는 음식을 예술처럼 요리했다?”– 삶의 고통을 견딘 식탁, 그 위에 핀 멕시코의 색채‘고통의 화가’로 알려진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07.06~1954.07.13).붉은 립스틱과 눈썹, 정열적인 색감의 그림들,그리고 그녀를 뒤덮은 중증 질환과 트라우마.그런데 놀랍게도, 그 삶을 견디게 해준 건 바로 ‘음식’ 이었습니다.프리다는 멕시코 전통 요리를 손수 만들며자신의 고통을 다독였고, 친구들과의 식탁에서 삶의 에너지를 되찾았습니다.그녀가 만든 요리에는 칠리와 향신료, 코코넛, 수박, 선인장, 데킬라…그녀의 그림 속 색채와 감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죠.오늘은 붓이 아닌, 프라이팬과 국자로 삶을 표현한 예술가프리다 칼로의 식탁 위 이야기로 들어가봅니다.그녀는 ‘먹는 행위’마저도..

오드리 헵번이 티파니에서만 아침 먹은 줄 알았던 당신에게

티파니에서 뿐 아니라, 어디서든 아침을 ‘꼭’ 챙겨 먹은 헵번?!– 굶지 않은 우아함, 헵번 식탁의 비밀 아침 거르고 커피로 버티는 하루, 익숙하시죠?건강 전문가들이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바쁜 일상에 쫓기다 보면 아침을 거르기 십상입니다.하지만 우아함의 아이콘 오드리 헵번(Audrey Kathleen Hepburn, 1929.05.04~1993.01.20)은 달랐습니다.그녀는 매일 아침을 ‘의식처럼’ 챙겨 먹는 리츄얼 라이프를 실천했죠.《티파니에서 아침을》 속 그녀는 쇼윈도 앞 크루아상으로 하루를 열었지만,현실 속 오드리 헵번은 통밀빵, 삶은 달걀, 과일, 커피까지 한 상 차려 먹는 ‘헬시 퀸’이었습니다.그녀는 굶지 않았습니다.대신 신선하고 소박한 음식을 꾸준히 먹으며,균형 잡힌 식습관으로..

단맛 중독 여왕, 엘리자베스1세가 알려준 치아 건강 경고

🍬 영국 여왕도 설탕에 무너졌다?- 엘리자베스1세 식습관, 충치로 본 궁정의 단맛 중독요즘 거리마다 보이는 탕후루, 달고나...한 입 베어 무는 달콤함은 잠시 스트레스를 녹여주죠.그런데 500년 전, 설탕의 유혹에 진심이었던 여왕이 있었습니다.바로 영국 튜더 왕조의 절대 권력자, 엘리자베스1세(Elizabeth I, 1533~1603).그녀는 매일 설탕 절임 과일과 마지팬(아몬드 분말과 설탕, 계란 흰자를 섞어서 만든 과자)을 즐기다,결국 입 안의 이가 모두 썩어버려 전신 건강에 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늘은 ‘설탕이 낳은 왕실의 치명적 취향’, 엘리자베스 1세의 식탁을 따라가보겠습니다.💪 설탕은 곧 권력이다이전에 소개했던 16세기, 일본의 오다 노부나가가 별사탕(콘페이토)과 서양과자 ‘난만가시(南..

‘배고픈 예술가’ 채플린의 장수 식단

“신발을 씹던 남자, 음식에 웃음을 담다”– 배고픔을 예술로 승화한 희극왕의 진짜 식탁 이야기요즘 MZ들 사이에서 ‘극한직업 다이어트’가 유행이죠?한 끼를 바나나로, 하루를 커피로 버틴다는 사람들이 넘쳐나는 시대.그런데, 그 누구보다 배고픔에 진심이었던 인물이 있습니다.바로, 침묵 속의 광대를 연기한 ‘희극의 거장’찰리 채플린(Charlie Chaplin, 1889.04.16~1977.12.25)입니다. 그는 가난과 영양실조 속에서 자라나신발을 삶아먹는 장면을 직접 연기했고,오리의 걸음에서 자신의 캐릭터를 착안해서 오리를 못먹겠다고 할 만큼‘음식’을 삶의 일부이자, 예술의 소재로 삼았습니다.자, 이제부터 채플린의 배고픔, 감사, 절제, 그리고 유머가 깃든진짜 식탁 이야기를 만나볼 시간입니다. 🎬 가난이..

생양파를 사과처럼 먹던 테토남, 어니스트 헤밍웨이

테토남의 식탁, 고기·양파·위스키의 삼위일체 - 음식조차 야성으로 삼았던 진짜 테토남, 해밍웨이의 식탁 위의 포효요즘 온라인에서 핫한 ‘테토남’이라는 말, 많이 보셨죠?테스토스테론(남성 호르몬)을 줄인 ‘테토’와 ‘남자’를 합쳐야성적이고 본능적인 매력을 지닌 상남자를 뜻하는 신조어예요.그런데 이 ‘테토남’ 트렌드가 탄생하기 무려 100년 전,생양파를 사과처럼 베어 먹던 진짜 테토남이 있었습니다.그 주인공은 바로, 『노인과 바다』와 『무기여 잘 있거라』의 작가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Hemingway, 1899.07.21~1961.07.02).그는 음식 앞에서도 가식이 없었습니다.사자 고기, 땅콩버터 생양파 샌드위치, 위스키와 생굴…그의 식탁은 단순한 ‘식사’가 아닌, 모험, 창작, 남성성, 그리고 ..

찐미식가 테너 파바로티의 식단 이중생활

🍝 성대보호와 미식 폭주 사이의 아슬아슬한 줄타기– 오페라 황제 파바로티의 찐-미식 라이프와 절제의 아이러니치즈는 필수, 파스타는 생명, 그리고 성대는 무기!이탈리아의 국민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Luciano Pavarotti, 1935.10.12~2007.09.06)는누가 봐도 찐-미식러였습니다.공연 끝나자마자 “엄마표 파스타” 찾고, 고향 모데나의 살라미·파르마햄을 사랑했던 남자.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그는 성대를 지키기 위해커피 OUT, 유제품 OUT, 기름진 음식은 공연 전 OUT“목소리 빼고 다 포기할 수 있다”는 말이 진짜였죠. 매일 20분씩 발성 루틴 돌리고,공연 전엔 물 말고는 입에 안 대던 이 남자,공연 끝나면 폭식각 ON, 치즈 폭탄 파스타 FLEX.그의 식탁은 늘 '성대 보호냐, ..

애거사 크리스티의 창작 리츄얼 라이프

“애거사 크리스티의 식탁엔 늘 단서가 있었다?!”소설 속 ‘위험한 음식’과 현실 속 ‘소박한 식사’의 기묘한 교차범죄소설의 여왕 애거사 크리스티(Agatha Christie, 1890.09.15~1976.01.12),그녀는 독살과 식탁 예절, 홍차와 잼 토스트를 같은 문장 안에 넣을 줄 아는 작가였습니다.소설 속 범인은 흔히 ‘아침식사’나 ‘티타임’ 중에 단서를 흘렸고,그 식탁은 언제나 조용히 살인을 준비하고 있었죠.그런데 말입니다,그 수많은 ‘위험한 음식’을 창조한 크리스티 본인의 식단은 어땠을까요?대답은 의외로 ‘사과 한 알과 따뜻한 차 한 잔’입니다.화려한 다이어트도, 셰프의 요리도 없었죠.그녀는 소박한 음식, 정적인 일상, 규칙적인 글쓰기를(요즘 유행하는) 자기만의 '리츄얼 라이프'로 삼았습니다...

절제식단부터 에어배스까지, 프랭클린 장수 건강법

“밴자민 프랭클린은 사실 18세기 웰니스 인플루언서였다?”– 절제와 소식, 공기욕과 운동을 실천한 건강 철학의 선구자 요즘 SNS를 보면, '절식', '에어샤워', '명상 루틴' 같은 웰빙 키워드가 핫하죠.그런데 이런 건강 루틴을 200년도 전에 먼저 실천한 인물이 있었다면 믿으시겠어요?바로 미국의 건국 아버지이자, 발명가·외교관·출판인이었던 밴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 1706.01.17~1790.04.17)입니다.“살기 위해 먹어라. 먹기 위해 살지 마라”“수명을 늘리고 싶다면 식사량을 줄여라”이런 말을 남긴 그는, 단순한 철학자가 아니라 ‘건강한 삶을 몸소 실천한 웰니스 실천가’였습니다.채식 실험, 균형 잡힌 소식(小食), 매일 수영과 덤벨 운동, 그리고 ‘에어 배스’까지—지금..

팝의 황제 마이클잭슨이 사랑한 소울푸드는?

🍗 비빔밥부터 KFC까지, MJ의 소울푸드 여정– 비빔밥과 채식 사이, 마이클 잭슨의 식탁마이클잭슨이 한국에 와서 비빔밥에 반해 갔다는 사실 아십니까? 1997년 한국을 방문했을 당시 처음 맛본 전주비빔밥의 맛에 매료당해 기내식으로도 비빔밥을 시키고 미국으로 돌아가서도 전용셰프에게 비빔밥 레시피를 전수할 정도로 마이클잭슨의 비빔밥 사랑이 대단했습니다. 그렇다면 그의 소울푸드는 비빔밥? 글쎄요. 비빔밥은 그의 '인생 별미'라고 할 수 있겠지만 무대 위 에너지를 끌어내는 고단백 고지방 식단은 따로 있었습니다. 이제부터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이 어떤 식단으로 무대를 지켰고,그 식습관이 그의 건강과 말년에 어떤 영향을 남겼는지 함께 들여다보겠습니다.🍗 투어의 연료, 단백질 중심 고강도 식단마이클 잭슨..

강박천재 하워드 휴즈의 세상 불편한 식사

🧼 완두콩 12알에 집착한 천재?– 강박과 결벽 사이, 하워드 휴즈의 식탁식사 전 손부터 두세 번 씻으시나요?누가 먹던 포크,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시나요?누군가에겐 그냥 ‘예민함’일 수도 있지만,하워드 휴즈(Howard Hughes, 1905.12.24~1976.4.5)에겐 이 식사의식은 생존 그 자체였습니다.세계 최고의 갑부, 영화 제작자, 항공 혁신가…천재적 성취의 이면엔 매 끼니가 공포와 의식의 반복이었던 한 남자의 초상이 있습니다.완두콩은 12알이 정확히 같아야 했고,모든 식기는 셀로판으로 포장된 상태에서 건네져야 하며,그는 식사 매뉴얼을 수십 페이지로 만들어 비서에게 교육시켰습니다.바나나넛 아이스크림만 1,300L 쌓아놓고 며칠 후 통째로 버렸다는 전설도 있어요.이제부터 우리가 몰랐던 또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