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위의인물사 53

'먹깨비' 허균: 식도락에 대한 지극한 열정

“허균은 조선의 미식 칼럼니스트였다?”– 벼슬보다 새우와 게를 택한 자유로운 영혼의 식도락기“맛은 영원히 즐거운 것이다.”어디서 많이 들어본 말 같죠? 요즘 떠오르는 미식 유튜버나 셰프의 어록일 것 같지만, 놀랍게도 이 말은 400여 년 전 조선 시대의 문인이자 혁명가였던 허균의 세계관이었습니다.그는 『홍길동전』의 저자, 유배와 파직을 거듭한 개혁가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또 다른 얼굴이 있습니다.바로 조선의 최초 맛 칼럼니스트, 허균의 숨겨진 식도락 라이프.그는 권세나 명예보다, 새우 한 접시와 싱싱한 생선 한 토막을 더 귀하게 여겼던 진짜 ‘맛있는 인생’을 살았습니다.자, 지금부터 조선의 대표 ‘미식 탐험가’ 허균의 맛있는 인생을 따라가 볼까요? 📌 “먹는 것밖에 탐내는 게 없다”… 그가 직접 고백..

'국민약골' 영조, 저속노화 식단으로 조선 최장수왕이 되기까지

"영조는 저속노화 인플루언서였다?"– 300년 전 조선 최고령 왕의 안티에이징 비밀"잡곡밥, 튀김 사절 그리고 금주금연"이거 요즘 헬스 유튜버 루틴 아니냐고요? 아닙니다. 바로 조선의 21대 왕 영조의 라이프스타일입니다. 조선 21대 왕 영조(英祖, 1694~1776). 영조는 '탕평책의 달인', '52년 최장기 집권'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영조는 ‘탕평책의 달인’, ‘52년 최장기 집권’으로 유명하지만,사실 더 놀라운 건 당시 평균수명이 50대였던 시절에 무려 83세까지 장수했다는 사실이에요.왕 중에서도 최장수 기록. 그야말로 조선의 저속노화 바이블이라 불릴 만하죠. 영조의 극한 저속노화 도전📌 실록에 남겨진 '절제의 흔적'『영조실록』과 각종 의궤에 따르면, 영조의 건강 비법은 소식, 규칙적인..

‘헬스 오타쿠 군주’ 정조의 만성 위장병

“정조는 위장병 환자였다?”– 긴장과 절제로 가득했던 조선의 건강 집착형 군주“하루 두 끼, 죽과 생강, 그리고 스트레스”이게 누구 식단일까요?헬스 유튜버? 다이어터? 아니요. 바로 조선의 22대 왕 정조입니다.조선 22대 왕 정조(正祖, 1752~1800).정조는 ‘개혁 군주’, ‘문예 부흥의 아이콘’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하지만 그 화려한 업적 이면엔, 누구보다 몸과 건강에 예민했던 ‘위장병 환자’ 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실록에 남겨진 ‘소화 장애의 흔적’『정조실록』과 각종 의궤에 따르면, 정조는 평소 복통, 체기, 가슴 답답함, 두통, 소화불량 등을 자주 호소했습니다.특히 정조 16년(1792) 기록에는 이런 문구가 나옵니다.“지난밤에도 속이 거북하여 곡식이 내려가지 않더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