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2

고통을 요리한 화가, 프리다 칼로의 식탁

“프리다 칼로는 음식을 예술처럼 요리했다?”– 삶의 고통을 견딘 식탁, 그 위에 핀 멕시코의 색채‘고통의 화가’로 알려진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07.06~1954.07.13).붉은 립스틱과 눈썹, 정열적인 색감의 그림들,그리고 그녀를 뒤덮은 중증 질환과 트라우마.그런데 놀랍게도, 그 삶을 견디게 해준 건 바로 ‘음식’ 이었습니다.프리다는 멕시코 전통 요리를 손수 만들며자신의 고통을 다독였고, 친구들과의 식탁에서 삶의 에너지를 되찾았습니다.그녀가 만든 요리에는 칠리와 향신료, 코코넛, 수박, 선인장, 데킬라…그녀의 그림 속 색채와 감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죠.오늘은 붓이 아닌, 프라이팬과 국자로 삶을 표현한 예술가프리다 칼로의 식탁 위 이야기로 들어가봅니다.그녀는 ‘먹는 행위’마저도..

오드리 헵번이 티파니에서만 아침 먹은 줄 알았던 당신에게

티파니에서 뿐 아니라, 어디서든 아침을 ‘꼭’ 챙겨 먹은 헵번?!– 굶지 않은 우아함, 헵번 식탁의 비밀 아침 거르고 커피로 버티는 하루, 익숙하시죠?건강 전문가들이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바쁜 일상에 쫓기다 보면 아침을 거르기 십상입니다.하지만 우아함의 아이콘 오드리 헵번(Audrey Kathleen Hepburn, 1929.05.04~1993.01.20)은 달랐습니다.그녀는 매일 아침을 ‘의식처럼’ 챙겨 먹는 리츄얼 라이프를 실천했죠.《티파니에서 아침을》 속 그녀는 쇼윈도 앞 크루아상으로 하루를 열었지만,현실 속 오드리 헵번은 통밀빵, 삶은 달걀, 과일, 커피까지 한 상 차려 먹는 ‘헬시 퀸’이었습니다.그녀는 굶지 않았습니다.대신 신선하고 소박한 음식을 꾸준히 먹으며,균형 잡힌 식습관으로..

단맛 중독 여왕, 엘리자베스1세가 알려준 치아 건강 경고

🍬 영국 여왕도 설탕에 무너졌다?- 엘리자베스1세 식습관, 충치로 본 궁정의 단맛 중독요즘 거리마다 보이는 탕후루, 달고나...한 입 베어 무는 달콤함은 잠시 스트레스를 녹여주죠.그런데 500년 전, 설탕의 유혹에 진심이었던 여왕이 있었습니다.바로 영국 튜더 왕조의 절대 권력자, 엘리자베스1세(Elizabeth I, 1533~1603).그녀는 매일 설탕 절임 과일과 마지팬(아몬드 분말과 설탕, 계란 흰자를 섞어서 만든 과자)을 즐기다,결국 입 안의 이가 모두 썩어버려 전신 건강에 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늘은 ‘설탕이 낳은 왕실의 치명적 취향’, 엘리자베스 1세의 식탁을 따라가보겠습니다.💪 설탕은 곧 권력이다이전에 소개했던 16세기, 일본의 오다 노부나가가 별사탕(콘페이토)과 서양과자 ‘난만가시(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