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는 조선시대 영조급 건강덕후?"
– 하루 한 끼, 4시 45분 기상, 80세까지 살아남은 독일 철학자의 극한 절제 라이프
“매일 아침 4시 45분 기상, 하루 한 끼 점심, 식사 후 1시간 산책, 그리고 밤 10시 취침.”
혹시 요즘 SNS에서 떠도는 ‘루틴’ 챌린지의 원조가 누군지 아시나요?
18세기 독일의 철학자이자 고집과 규칙의 아이콘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입니다.
‘실천이 곧 철학’이었던 그의 일상은, 현대의 “갓생러”들도 감탄할 만한 완벽한 자기 관리의 연속이었죠.
심지어 쾨니히스베르크 시민들은 칸트가 산책을 시작하면 “이제 시계 맞출 시간”이라며,
진짜로 칸트를 보고 시계를 맞췄다고 합니다. 지금으로 치면 ‘철학계의 어른이집’ 원장쯤?
그렇다면, 이 철저한 일상 루틴의 끝에는 어떤 건강과 식사의 원칙이 있었을까요? 칸트의 식탁을 한번 들여다볼까요?
📌 철저한 규칙, 칸트의 24시간 관리법
칸트는 ‘질서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고 여겼습니다.
아침 4시 45분이면 무조건 기상, 그리고 오전에는 얇은 차(紅茶, 녹차류) 두 잔에 파이프 한 모금.
점심 한 끼만 제대로 먹고, 저녁은 패스!
밤 10시 취침까지 모든 일정을 15분 단위로 쪼개 철저하게 관리했죠.
특히 점심 한 끼는 혼자가 아니라 늘 다양한 손님들과 함께 했습니다.
“혼밥은 건강에 해롭다”는 그의 소신 때문이었는데, 식사 중에는 절대 철학 얘기 금지!
오히려 자연, 여행, 건강, 사회 같은 가벼운 대화로 분위기를 띄웠습니다.
이런 루틴, 현대 건강 전문가들이 강조하는 “정기적 식사, 사회적 교류, 충분한 수면, 규칙적 운동”과 딱 맞아떨어집니다.
‘루틴’의 위력이 생각보다 강하단 거, 칸트가 먼저 증명해준 셈이죠.
🍨 하루 한 끼, 풍성한 ‘한 상 차림’의 비밀
“하루 한 끼면 너무 소박하잖아?”라고 생각했다면 오산!
칸트의 점심 식탁은 오히려 다채로웠습니다.
육수에 면(버미첼리나 라이스), 각종 콩과 완두콩, 대구구이, 잘 익힌 소고기, 다양한 빵과 소스, 그리고 디저트와 과일까지 코스요리처럼 이어졌죠.
특히 영국식 겨자(머스터드)와 네덜란드 치즈는 칸트의 최애템!
계절에 따라선 과일과 디저트도 빠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매일 와인 한 잔(주로 프랑스 메독이나 라인와인)은 식탁에 늘 함께 했죠.
여기서 중요한 건 “과식 금지, 폭음 금지” 원칙입니다.
오히려 “지나친 금식이나 항상 허기진 상태로 지내는 것이 건강에 더 해롭다”고 강조했습니다.
밸런스 잡힌 한 끼, 절제된 양, 적당한 즐거움—이게 칸트 식단의 진짜 핵심이었죠.
혹시 다이어트 중 ‘굶기’에 몰두하시는 분이라면, 칸트의 메시지를 새겨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맛에는 다양성이 필요하다” – 칸트의 미식 철학
칸트는 ‘한 가지 음식만’ 고집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식사의 즐거움은 다양성에서 온다”며, 항상 여러 메뉴를 곁들였습니다.
빵은 꼭 바삭하게 구워야 했고, 양배추 절임(사우어크라우트)은 달지 않아야 했죠. 심지어 치즈도 네덜란드산만 고집!
여기엔 ‘장 건강’에 대한 칸트 나름의 철학이 있었습니다.
겨자, 버터, 강한 치즈 등은 장 운동을 도와주고 소화를 돕는다고 믿었죠. 그리고 식사 후엔 꼭 1시간 산책!
이 산책은 소화 촉진, 심신 안정,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철학적 산책’의 시간이었다고 합니다.
현대의학적으로 봐도, 아침 공복 운동, 규칙적인 산책, 다양한 영양소 섭취, 식사 동료와의 사교적 교류가 신체적·정신적 건강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들이 많습니다. 특히, 장 건강과 행복 호르몬(세로토닌)의 관계도 점점 더 주목받고 있죠.
💬 “스트레스는 유쾌한 대화로 푼다” – 건강관의 디테일
칸트는 단순한 식습관 이상으로, “스트레스 관리”에도 나름의 철학이 있었습니다.
우울하거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땐, 사교와 대화, 명상(산책), 그리고 일정한 루틴을 통해 회복을 추구했죠.
감기 기운이 오면 “입을 다물고 코로 깊이 호흡하라”는 자기만의 노하우도 실천했습니다.
의약품도 경험했지만, 자연요법(규칙적인 식사·운동·사교)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현대 의학도 ‘사회적 지지’, ‘규칙적 생활’, ‘마음의 평안’이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특히 식사 자리에서의 유쾌한 대화는 심리적 안정, 소화 효율, 식욕 조절,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인지기능 유지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습니다.
📕“식사는 철학이자, 자기계발” – 칸트 식탁의 교훈
칸트의 건강과 식사는 단순히 ‘먹는 것’ 그 이상이었습니다.
일상 전체를 철저히 통제함으로써, 자신의 몸과 마음을 가장 잘 이해하고 관리하려고 한 것.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사교, 유쾌함, 소통으로 연결한 것이죠.
오늘날 “셀프케어”, “밸런스”, “사회적 식사”, “마이크로 루틴” 같은 현대 웰빙 트렌드가 사실 칸트에서 이미 실천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그는 식탁 앞에서만큼은 학문적 논쟁이 아니라 ‘삶의 소소한 즐거움’에 집중했습니다.
🧾 오늘의 인사이트: “나만의 루틴, 그리고 유쾌한 식사”
칸트는 "자유란 자신이 스스로 만든 법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라고 했어요.
그의 식습관도 마찬가지였죠. 남이 정해준 다이어트가 아닌, 스스로 정한 원칙을 평생 지켜낸 것.
칸트의 평생은 철저한 자기 관리와, 다양한 음식·사람·이야기가 어우러진 식탁의 연속이었습니다.
그 식탁 위에서 그는 ‘진짜 행복’과 ‘지속 가능한 건강’의 본질을 실천했죠.
오늘, 여러분의 식사 자리는 어떤가요?
혼자 급하게 먹고 있지는 않나요?
식사를 하면서 업무를 보거나 일의 연장선상에 있지는 않나요?
규칙적인 식사 시간을 지키고 있나요?
‘누구와, 어떻게 먹는가’가 ‘무엇을 먹는가’만큼 중요하다는 걸,
칸트의 식탁은 알려주고 있습니다.
👉 이전 인물 보러 가기
[식탁 위의 인물사-21] 사무라이의 간헐적 단식? 사카모토 료마표 피지컬 디톡스
사무라이의 간헐적 단식? 사카모토 료마표 피지컬 디톡스
‘소식주의 혁명가’ 료마의 포만감 80% 챌린지– 소식과 커피로 다진 근대 일본 혁명가의 건강 루틴‘포만감 80%’, ‘간헐적 단식’, ‘마인드풀 이팅’.그러나 이 건강 루틴을 150년도 더 전에
howstoday.kr
'식탁 위의 인물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란츠 카프카, 20세기 마인드풀 이팅의 원조 (3) | 2025.07.29 |
---|---|
'식초 다이어트의 원조' 로드 바이런, 체중강박이 부른 식탁의 비극 (2) | 2025.07.29 |
사무라이의 간헐적 단식? 사카모토 료마표 피지컬 디톡스 (2) | 2025.07.28 |
'콩의 왕' 헨리 포드의 9988 무병장수 라이프 (1) | 2025.07.28 |
‘감각의 힘’으로 건강을 지킨 헬렌 켈러의 오감 클린이팅 (4) | 2025.07.28 |